본문 바로가기

고주파온열암치료124

[온열치료 전문가 칼럼46] 고주파온열암치료 국소 진행성, 재발∙전이성 종양질환의 치료 – 2부 (하이딥600WM의 임상검증) [온열치료 전문가 칼럼 46] ‘하이딥600WM의 임상검증’ 국소 진행성, 재발∙전이성 종양질환의 치료 – 2부지난 칼럼 45편에서는 말루타 교수의 리뷰 아티클(Review article)을 통하여 이탈리아 세레나 메디컬센터에서 2013~2017년 동안 국소 진행성, 재발·전이성 종양 환자 63명을 대상으로 화학요법 및/또는 방사선치료와 온열요법 병용 치료를 시행한 연구 결과, 환자의 60%가 좋은 반응을 보였다(23.8% 완전 관해, 36.5% 부분 관해)는 결과와 함께, 이 결과는 병용 치료를 시행한 적응증을 EBM레벨로 분류해 치료하고 RECIST 기준으로 평가한 내용임을 앞서 밝혀두었다. 2024년 발표된 중앙암등록본부 자료에 의하면 2022년에 우리나라에서는 282,047건의 암이 새로이 발생했.. 2025. 3. 26.
[온열치료 전문가 칼럼45] 고주파온열암치료 국소 진행성, 재발∙전이성 종양질환의 치료 – 1부 (하이딥600WM의 임상검증) [온열치료 전문가 칼럼 45] ‘하이딥600WM의 임상검증’ 국소 진행성, 재발∙전이성 종양질환의 치료 – 1부현재 고주파 온열 암 치료기 하이딥600WM의 자문의이자 이탈리아 베로나 대학교 세레나 메디컬센터 병원장인 세르지오 말루타 교수의 임상 연구 중, 국소적으로 진행된 종양 또는 재발·전이된 종양의 치료 시 방사선 요법 및 화학 요법과 결합한 온열요법 사례에 대해 칼럼을 통해 전하고자 한다. 그중에서도 특히, 국소적이며 한정적으로 재발한 유방암을 대상으로 한 온열치료의 역할에 대한 그의 리뷰 기사를 소개하기에 앞서, 말루타 교수를 간략히 소개하고자 한다. 말루타 교수는 50년 이상의 의사 생활 동안 온열요법을 표준요법에 병합한 수많은 임상 연구를 통하여 온열 종양학이라는 학문적 위업을 달성하는 데 .. 2025. 3. 20.
[온열치료 전문가 칼럼44] 하이딥600WM을 사용한 전향적 임상 - 예후가 좋지 않은 뇌 전이 암 환자 대상 방사선 치료(WBRT)와 고주파온열암치료 병용 – 2부 [온열치료 전문가 칼럼44] 하이딥600WM을 사용한 전향적 임상 - 예후가 좋지 않은 뇌 전이 암 환자 대상 방사선 치료(WBRT)와 고주파온열암치료 병용 – 2부지난 칼럼에서 하이딥600WM으로 스페인의 여러 의료센터에서 시행한 전향적 임상 연구를 전하기에 앞서 뇌 전이암 환자의 예후와 온열치료에 적용 노력에 대해 비중 있게 다뤘다면, 이번 칼럼에서는 임상 진행 내용과 결과에 대하여 전하도록 하겠다. 연구 설계 및 참여자 2015년 6월 1일부터 2017년 6월 1일까지 다양한 임상 상황에서 뇌 전이를 앓고 있는 18세 이상의 환자를 Sperduto. et al. 의 GPA 척도를 사용하여 분류했다. 이 연구에는 예후가 가장 나쁜 환자(GPA 점수 ≤2.5)도 포함했다. 환자들은 예후가 매우 나쁜 G.. 2025. 3. 10.
[온열치료 전문가 칼럼42] 하이딥600WM을 사용한 전향적 임상- 진행성 종양 다기관 연구 (2) [온열치료 전문가 칼럼42] 하이딥600WM을 사용한 전향적 임상- 진행성 종양 다기관 연구 (2)▶지난 칼럼에 이어 지난 칼럼에서 하이딥600WM으로 스페인에서 시행한 전향적 임상 연구의 안전성 검토 측면을 중점적으로 다뤘다면, 이번 칼럼에서는 임상 진행 내용과 결과에 대하여 전하도록 하겠다. 환자의 특성 2015년 6월부터 2017년 6월까지 106명의 환자에서 159개의 종양 병변을 온열요법으로 치료하였다. 참여 환자의 평균 연령은 59.4세(28~86세)로, 병변의 특징과 RT/전신 치료에 자세한 기록을 [표 2]로 제시하였다. 표면에 위치한 종양(표재성 종양)은 국소 진행성 유방암(16개 병변)과 두경부(10개 병변)였으며 피부 침범은 각각 8/16과 2/10에서 나타났다.  실현 가능성총 75.. 2025. 2. 24.
고주파온열암치료 후 땀이 나야 효과가 있는 건가요? 고주파온열암치료 후 땀이 나야 효과가 있는 건가요?암 환자분들이 가끔 문의를 하시는 내용 중,고주파온열암치료를 받고 나는 땀이 안 나는데 다른 사람은 땀이 엄청났다고 한다.  나는 치료가 제대로 안되고 있는 것이냐? 이런 질문을 하시는데요. 오늘은 치료 후 땀의 유무의 영향을 비롯해 치료 효과와 관련된 질문 내용을 Q&A 형식으로 포스팅을 준비했습니다!Q. 고주파온열암치료 받은 뒤 땀이 나야 진짜 치료 효과가 있는 건가요?  아니요. 개인적인 열 민감도에 따라 다릅니다.  개인적인 열 민감도 차이를, 사우나를 예를 들어 설명드려볼게욤!  사우나를 좋아하시는 분들도 있고 싫어하시는 분들도 있는데요.  사우나와 같은 찜질이나 온열을 좋아하시는 분이라면, 열 민감도가 적고, 열 순응도가 좋다고 볼 수 있습니다.. 2025. 2. 21.
[인천 강화] 먼 곳에 갈 필요 없이, 강화 유일의 종합병원에서 암 면역 케어 고주파온열암치료와 함께 받아보세요! 성수의료재단 비에스종합병원 암면역센터 인천백병원의 노하우를 지닌 성수의료재단이 수도권임에도 종합 의료 불모지였던 강화군에 설립한 비에스종합병원이 2018년 개원한 이래로, 지역민의 건강을 도맡아 왔는데요. 지역민의 암 건강관리와 일상으로의 회복까지 책임지기 위해 지난해 11월 암면역센터를 개소하였다고 합니다! 수도권에 위치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원정 출산을 해야 하는 현실이나, 응급환자조차도 물리적 거리가 생각보다 먼 인천이나 김포로 나가야 하는 강화군의 의료 현실을 타계하는데 이바지하고자 설립한 비에스종합병원은 15개의 과를 갖추고 있어 다학제 치료 시스템을 갖춘 곳입니다. 설립 취지에 걸맞게 16개 진료과 중, 산부인과도 응급의학과도 있는 책임 있는 의료기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11월 개소한 암면역센터는 유럽식 통합 암 치료를 제공.. 2025. 2. 13.
[온열치료 전문가 칼럼 38] 고주파 온열 암 치료 이해를 돕기 위한 전자파에 대하여-1부 [온열치료 전문가 칼럼 38] 고주파 온열 암 치료 이해를 돕기 위한 전자파에 대하여-1부온열치료 칼럼을 통하여 전자기장의 효과에 대해 여러 차례 소개하였다. 칼럼 23편과 24편에 걸쳐, 전자기장(EMF)의 세포생물학적, 치료적 효과를 전하였고, 칼럼 35편에서 비 열효과(Non-thermal effect)를 주제로 전자기장을 언급하였으며, 지난 칼럼 36편을 통하여 분극(Polarization)과 막전위(Membrane Potential)를 설명하면서 전자기장과 그 효과에 대해 알려왔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이 일상생활에서 사용하거나 주변에 있는 전기를 이용하는 전자기기 또는 전자제품에서 나오는 전자파에 대한 불안감을 느끼고 있다. 고주파 온열 암 치료기와 같은 의료를 목적으로 제조된 의료 장비 또.. 2025. 1. 31.
[온열치료 전문가 칼럼 37] 고주파 온열 암 치료의 분극과 막전위 [온열치료 전문가 칼럼 37] 고주파 온열 암 치료의 분극과 막전위전자기장이 생물학적 조직과 어떻게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지 이해하려면 세포와 조직에 대한 주요 영향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전기장과 자기장은 강도뿐만 아니라 정보의 벡터 또는 전달자로서도 고려되어야 한다. 실제로 약한 강도의 파동을 적용하면 생물학적 정보가 높아질 수 있다. 물리학자 에밀리오 델 지우디체(각주 1)는 유기체에서 화학적 상호작용, 화학 반응 조절의 메커니즘에 따라, 전파 자극이 보다 치료적 효과를 보이려면 전파의 강도가 낮아야 한다는 최소 자극의 원리를 주장하였다. 따라서 외부에서 생체로 주입하는 전자기 신호 강도를 약하게 조절하거나 온도를 올릴 수 있는 경우, 위상 일치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우리 몸은 청각과 시각뿐 아니.. 2025. 1. 22.
[온열치료 전문가 칼럼36] 정전용량방식의 고주파 온열 암 치료장비의 선택 기준은? [온열치료 전문가 칼럼36] 정전용량방식의 고주파 온열 암 치료장비의 선택 기준은?필자는 지난 2024년 5월부터 매주 금요일 온열요법에 대한 칼럼을 전하기 시작하여 지금까지 35편을 전하며 많은 의료진과 관계자로부터 많은 관심과 반응 그리고 환자에게 올바른 정보를 전함에 있어 뜻깊은 한 해가 되었음에 깊은 감사를 드린다. 2025년에도 많은 관심과 격려 부탁드리며, 새해 첫 칼럼의 주제로 국내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정전용량(용량결합) 방식의 장비에 대한 선택 기준은 무엇일까’에 대해 다뤄보고자 한다. 필자가 이 주제를 주목한 이유는 실제 온열 암 치료를 시행 중이거나 관심 있는 의료진 또는 관계자로부터 가장 많은 질문을 받는 주제가 어떤 장비가 환자의 치료에 도움이 되고 사용자가 편리하게 운용.. 2025. 1.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