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딥60035 [온열치료 전문가 칼럼45] 고주파온열암치료 국소 진행성, 재발∙전이성 종양질환의 치료 – 1부 (하이딥600WM의 임상검증) [온열치료 전문가 칼럼 45] ‘하이딥600WM의 임상검증’ 국소 진행성, 재발∙전이성 종양질환의 치료 – 1부현재 고주파 온열 암 치료기 하이딥600WM의 자문의이자 이탈리아 베로나 대학교 세레나 메디컬센터 병원장인 세르지오 말루타 교수의 임상 연구 중, 국소적으로 진행된 종양 또는 재발·전이된 종양의 치료 시 방사선 요법 및 화학 요법과 결합한 온열요법 사례에 대해 칼럼을 통해 전하고자 한다. 그중에서도 특히, 국소적이며 한정적으로 재발한 유방암을 대상으로 한 온열치료의 역할에 대한 그의 리뷰 기사를 소개하기에 앞서, 말루타 교수를 간략히 소개하고자 한다. 말루타 교수는 50년 이상의 의사 생활 동안 온열요법을 표준요법에 병합한 수많은 임상 연구를 통하여 온열 종양학이라는 학문적 위업을 달성하는 데 .. 2025. 3. 20. [온열치료 전문가 칼럼36] 정전용량방식의 고주파 온열 암 치료장비의 선택 기준은? [온열치료 전문가 칼럼36] 정전용량방식의 고주파 온열 암 치료장비의 선택 기준은?필자는 지난 2024년 5월부터 매주 금요일 온열요법에 대한 칼럼을 전하기 시작하여 지금까지 35편을 전하며 많은 의료진과 관계자로부터 많은 관심과 반응 그리고 환자에게 올바른 정보를 전함에 있어 뜻깊은 한 해가 되었음에 깊은 감사를 드린다. 2025년에도 많은 관심과 격려 부탁드리며, 새해 첫 칼럼의 주제로 국내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정전용량(용량결합) 방식의 장비에 대한 선택 기준은 무엇일까’에 대해 다뤄보고자 한다. 필자가 이 주제를 주목한 이유는 실제 온열 암 치료를 시행 중이거나 관심 있는 의료진 또는 관계자로부터 가장 많은 질문을 받는 주제가 어떤 장비가 환자의 치료에 도움이 되고 사용자가 편리하게 운용.. 2025. 1. 15. [경기 가평] 종합병원과 협진 케어와 함께 아름다운 자연 풍광 속에서 암을 치유하는 공간 HJ매그놀리아국제요양병원 (HJ매그놀리아 국제병원 암케어 센터)에서 고주파온열암치료까지! HJ매그놀리아국제병원(구. 국제 청심병원)에서 운영하는 암 케어 센터는 전문적인 재활의 시간을 제공하고자HJ매그놀리아 국제 요양병원에 위치해 있는데요.요양병원이라고 하지만, 매그놀리아국제병원에서 운영하는 기관인 만큼 다양한 과(내과, 정형외과, 정신건강의학화, 영상의학과, 신경과, 가정의학화, 이비인후과, 마취통증의학화, 한방과)와의 협진하여 암환자의 재활과 치료를 돕고 있다고 합니다. 다양한 암 종에 대한 전문적인 케어와 수반 되는 여러 가지 후유증도 적극 케어 받으실 수 있다는 장점이 옅보입니다.고주파로 만든 온열로 암을 치료하는 가이드라인의 초석이 된것이 바로 2004년 일본에서 열렸던 The Katota Fund International Forum 인데요. 그 가이드라인을 따라 정석적으로 치료하.. 2025. 1. 10. [온열치료 전문가 칼럼31] 온열치료의 메커니즘과 효과 [온열치료 전문가 칼럼31] 온열치료의 메커니즘과 효과이번 칼럼은 지난, 11월 10일 백범김구기념관 컨벤션홀에서 개최된, 임상 통합의학 암학회(CSIO)의 제15회 추계 국제 학술 세미나에서 필자가 발표한 주제인 ‘온열치료의 메커니즘과 효과’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이번 추계학회는 일본에서 초빙한 연자들의 일본의 통합의학적 암 치료와 독일에서 초청한 독일 온열종양학회장의 유럽의 통합의학적 암 치료 및 국내 연자들의 한국의 통합의학적 암 치료에 대한 최신 지견을 발표한 국제적인 학술 세미나로, 임상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기법들에 대하여 200여 명의 청중들의 뜨거운 열의와 증폭된 관심 속에 성황리에 마무리되었다. 오늘은 지난 5월 31일 칼럼 5편 ‘온열치료의 작용기전’의 연장선상에서 ‘온열치료의 .. 2024. 12. 9. [온열치료 전문가 칼럼26] 2024 독일온열종양학회(DGHT)현장 리뷰_2부 [온열치료 전문가 칼럼26] 2024 독일온열종양학회(DGHT)현장 리뷰_2부이번 학회를 방문한 의료진과 학회 회원들이 가장 중요하게 여긴 강의는 미국 하버드대학교 명예교수이자 현재 독일 프라이부르크대학교 방사선종양학과에 재직 중인 보펠(Vaupel) 교수의 50년 업적을 기린 발표였다. 보펠 교수는 정통종양학자로서 온열요법을 병행치료에 도입한 선구자로서 종양학 분야에서 존경받는 학자이다. 2022년 Springer에서 출간한 보펠 교수의 책, Water-filtered Infrared A (wIRA) Irradiation은 현재 Springer Link에서만 7만 건이 넘는 관심이 그의 학술적 연구 결과가 얼마나 주목받는가를 알 수 있다. 보펠 교수의 독일온열종양학회에서의 강연은 ‘50년간의 연구 회고.. 2024. 11. 5. [온열치료 전문가 칼럼22] 민감도 분석에 기반한 고주파온열암치료 [온열치료 전문가 칼럼22] 민감도 분석에 기반한 고주파온열암치료암을 포함한 만성 질환의 치료는 매우 복잡하고 정통 의학과 경험 의학 양대 영역에서, 모든 분야의 조정된 상호 작용이 요구된다. 필자의 경험상 “진정한 의미의 단독적인 대체 치료법은 없다.” 오히려 성공적인 대체 치료법은, 다양한 영역에서 올바른 치료 옵션 간에 조합을 찾아 맞춤형으로 진행한 결과이다. 온열 암 치료는 이러한 옵션 중 하나라 볼 수 있다. 온열치료에 대한 대부분의 출판물은 화학요법이나 방사선요법과의 병행 시, 치료 결과 향상의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온열치료를 선택하는 의료진과 환자라면 누구라도 궁금해할 '온열치료가 모든 환자/종양에 효과적인지? 치료 효과를 추정하기 위한 검사 절차가 있는지?'를 다룬 출판물을 접할.. 2024. 10. 11. [온열치료 전문가 칼럼21] 국내 시판 중인 온열 암 치료기의 이해 [온열치료 전문가 칼럼21] 국내 시판 중인 온열 암 치료기의 이해 이번 칼럼은 조금 읽기 쉬운 주제를 다뤄보려 한다.현재 우리나라에는 여러 방식의 온열 암 치료 장비들이 있다. 식약처에 등록된 의료용 고주파 온열기(사용 목적: 암 치료기기)는 2023년 10월 기준, 27개 품목이다. 이 중에서 취소 및 취하된 품목인 6종과 수출용 한정 품목은 3종을 제외하면, 국내에 판매 중인 품목은 18종인 셈이다.2004년 필자가 유럽식 온열 치료법을 한국에 처음 소개한 이후 10여년 간 국내 고주파 온열 암 치료 시장은 헝가리의 온코썸사가 90년초 출시한 EHY-2000과 2006년 독일의 셀시우스42+사가 출시한 셀시우스 TCS 장비가 전부였다.2015년부터 국내산 의료용 고주파 온열기가 등장하면서 고주파 온.. 2024. 10. 4. [온열치료 전문가 칼럼20] 고주파온열암치료기 하이딥600WM의 시판 후 임상평가 보고서 - 2부 [온열치료 전문가 칼럼20] 고주파온열암치료기 하이딥600WM의 시판 후 임상 평가 보고서 - 2부본 칼럼은, 19편 칼럼 하이딥600WM의 시판 후 임상 평가 보고서-1부의 보고서 A의 내용에서 이어집니다.보고서 B: 하이딥600WM에 대한 임상 평가 보고치료법 이 보고서에서 평가된 하이딥600WM 시스템은 정상적인 사용 조건에서 유럽 의료기기 표준 지침 93/42/EEC 문서 I, 3항에 명시된 모든 요구 사항을 충족한다. 제조사 안드로메딕(AndroMedic s.r.l) 이 제공한 설명서의 사용 지침 또한, CE에서 제시하는 장비 운용 및 치료 과정을 준수했다. 특히, 국제 문헌 및 현대 온열치료 표준 제시의 근간인 2004년 오사카 합의 온열치료 국제회의(각주 1)에서 나열된 부작용을 고려할 때 .. 2024. 9. 24. 내가 치료 받는 고주파온열암치료기, 정말 심부 온도가 올라갈까? 내가 치료 받는 고주파온열암치료기, 정말 심부 온도가 올라갈까?종양세포가 열에 의해 파괴되려면 42~43도에 이르는 열이 필요하다는 세포 실험 결과들이 많이 있습니다. 종양세포로 실험한 것부터 사람에게 적용되기까지, 작은 쥐에서부터 개나 돼지 등과 같이 포유류 장기에 퍼진 암을 치료해 보는 임상시험을 거치게 됩니다. 고주파온열암치료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임상 시험에서 발견할 수 있는 사실은, 단순히 세포에 열을 가했을 때와는 달리 고주파가 피부 표피 - 진피 - 혈관 - 지방- 근육 - (뼈)를 거쳐서 (암이 위치한)장기에 도달해 열을 내게 한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암이 위치한 장기에 도달하기까지 각 신체 기관을 거쳐가면서 열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열 손실이라.. 2024. 8. 1.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