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암정보/암정보,치료법

안종양 발생의 위험요인과 치료 현황(통계 포함)

by 항암온열치료포럼 2021. 8. 9.

오감 기관 중 하나인 눈은 시각 정보를 제공하는 중요한 기관입니다. 
TV를 비롯해 컴퓨터 사용을 시작한 이래로, 오늘날 우리는 미디어 전광판과 키오스크 그리고 내 손안에 스마트폰까지 눈을 사용할 일이 부쩍 늘었습니다. 

심지어 컴컴한 어둠 속에서 잠들기 전까지 스마트폰의 환한 불빛을 마주하다 눈을 감기 일 수인 요즘 시력 저하를 비롯해 여러 가지 눈 건강을 해칠 수 있는 요소들이 늘어났기 때문에 눈 건강을 챙겨야 하는 보조 식품의 광고 또한 부쩍 늘어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눈 건강까지 챙겨야 하는 내 눈이 피로한 요즘 일상, 눈에도 암이라 불리는 종양이 생길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시나요?

 


오늘 소개할 내용은 바로 안종양의 발생 요인과 치료 현황입니다. 

참고해보세요! 안종양의 종류와 발생 부위 https://hyperthermia.tistory.com/1102?category=698413

안종양(안구암, 안암)의 발생 요인
은 생태학적 요인, 환경적 요인 그리고 유전적 요인으로 구분된다고 합니다. 

 


인구 생태학적 요인
나이는 암 발생에 주요한 요인 중 하나인데, 특히 안종양 중 눈꺼풀에 발생하는 바닥 세포암(기저세포암), 피지샘암, 악성 흑색종은 주로 나이 든 사람에게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반대로 망막모세포종은 주로 3세 이전의 소아에서 발생합니다. 피부색에 있어서 흰 피부를 가진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바닥 세포암(기저세포암)이나 편평세포암 등이 잘 발생하는 걸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흑인에서는 바닥 세포암(기저세포암)의 발생이 낮으며, 하얀 피부를 가진 인종에서 악성흑색종의 발생이 높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안종양 중 맥락막에 발생하는 혈관종은 스터지-웨버(Sturge-Weber) 증후군 환자들에게서 발생하는 걸로 알려져 있습니다.

 


환경적 요인
얼굴을 장기간 햇빛에 만성적으로 노출시키는 것은 눈꺼풀의 바닥 세포암(기저세포암), 편평세포암과 안구의 맥락막 흑색종 등을 유발하는 위험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한편 에이즈(AIDS, 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나 장기이식 환자처럼 면역이 저하된 경우를 비롯하여 피부에 손상을 받은 적이 있는 나이 많은 사람들에게서 편평세포암이 잘 발생하는 걸로 알려져 있습니다.

 


유전적 요인
다른 암종과 달리 망막모세포종의 경우는 유전적 요인이 전체 망막모세포종 발생의 약 40%를 차지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안종양 발생 통계는 
보건복지부 중앙암등록본부 2019년 12월 발표 자료에 따르면, 2017년에 우리나라에서는 232,255건의 암이 새로이 발생했는데, 그중 안종양(C69)은 남녀를 합쳐서 115건으로 전체 암 발생의 0.05%를 차지했습니다. 인구 10만 명당 *조(粗)발생률은 0.2건입니다.

남녀의 성비는 1.3 : 1로 남자에게서 더 많이 발생했습니다. 발생 건수는 남자가 65건, 여자가 50건이었습니다. 남녀를 합쳐서 연령대별로 보면 10세 미만이 27.0%로 가장 많았고, 70대가 16.5%, 50대와 60대가 15.7%의 순이었습니다.

*조발생률: 해당 관찰 기간 동안 특정 인구 집단에서 새롭게 발생한 암 환자 수로 정의하며, 일반적으로 인구 100,000명당 발생하는 암 환자 수를 나타낸다.

위와 같이 다른 암에 비해 발생 비율은 드물지만, 노약자(고령자과 어린이) 집단의 발생 비율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안종양의 치료 현황
장기 생존율에 대한 대체적인 수치는 사실상 정확하다고 보기 어렵다고 합니다. 하지만, 적절한 치료가 선행된다면 안종양의 종류별로
치료에 따른 생존율이 상이하다고 하니, 자세한 내용은 원문을 방문해 보실 것을 추천드립니다. 


본 내용은 국가암정보센터 > 내가 알고싶은 암 > 안종양의 페이지에서 부분 발췌하여 소개하였음을 밝힙니다. 
https://www.cancer.go.kr/lay1/program/S1T211C223/cancer/view.do?cancer_seq=4541&menu_seq=456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