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증은 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정신 건강 상태입니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성인의 5%가 우울증을 겪는다고 추정하지만 60세 이상 성인의 경우 유병률이 5.7%로 더 높다고 전하였습니다. 사랑하는 부모님이나 조부모님께서 노년기에 접어드셨다면, 몇 가지 찾아보아야 할 징후와 증상에 대해 알아보세요.
아래 설명하는 징후는 말그대로 징후 일뿐 진단일 수는 없으니, 다음과 같은 증상을 보이신다면 우울증 검사를 받아보시고 알맞은 처방을 받고 마음의 건강을 되찾으시는데 도움이 되기 위하여 전해드립니다.
노인 우울증의 징후
노령층 우울증의 물리적 신호(신체적 증상)
우울증은 기분 장애로 분류되지만, 단순히 기분뿐만 아니라 다양한 신체적 증상까지 유발합니다. 때문에 가장 먼저 알아차릴 수 있는 징후는 신체적 증상 일 수 있습니다.
- 예상치 못한 체중 변화(증가 또는 감소)
- 식욕 변화(정상보다 많이 먹거나 적게 먹음)
- 비정상적으로 낮은 에너지 수준
- 과도한 수면이나 불면증과 같은 급격한 수면 변화
"우울증을 앓는 사람은 명확한 의학적 원인 없이도 우울한 기분을 표출하며
신체적 통증을 호소할 수 있습니다."
- 미국 가정 간병 전문 기업 ComForCare CEO -
노령층 인지적 신호(신체적 증상)
'나 요즘 자꾸 기억이 안나, 어제한 일도 생각이 어려워, 뭘 봐도 집중이 안되서 보기가 어렵네'라는 말씀을 전하시는 부모님/조부모님을 뵈었을 때, 마음 한구석이 철렁하며 자연스러운 노화증상이다 하면서 치매이신건 아닌지 염려스러울 수 있는데요. 부모님/조부모님께서 거주하시는 지자체의 보건소에서는 치매 인지 검사를 무료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보건소 홈페이지를 통해 치매 인지 검사 시행여부를 확인하고 부모님/조부모님이 마음편히 받아 보실 수 있도록 신청해 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검사를 받고오셔도 별다른 이상이 없다면, 그저 노화증상이었구나.. 생각하고 지나칠 수 있는데요. 그냥 지나치기 보다는, 노인의 우울증 증상이 때때로 인지적 문제로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해주세요!
요즘들어 부쩍 사고력, 집중력이 줄어들어서 기억력이 떨어지고 우유부단한 행동의 빈도가 높아진다면 우울증의 인지적 증상일 수 있다고 하는데요. 우울증의 인지적 증상이 치매의 기억 문제를 흉내 낼 수 있으며, "가성 치매"라고도 불리기도 하며, 이는 우울증이 적절히 치료되면 호전되는 경향이 있다고 합니다.
따라서, 치매가 아닌데 자꾸만 기억력 저하를 호소하고 무엇인가를 결정내리는데 어려움을 겪는 모습을 요즘들어 발견했다면 우울증 검사를 받아보도록 해보세요.
노령층 우울증의 행동 신호
생활 공간이 전과 달리 훨씬 더 지저분해 보이나요?
그간 별탈 없이 샤워나 양치질과 같은 일상 위생 활동을 귀찮아 하거나 미루고 잘 하지 않나요?
평소보다 말하는 속도가 느려졌거나 보행의 속도나 생활에서 움직이는 속도가
평소보다 훨씬 느릿느릿해 졌나요?
이러한 행동 변화는 노인의 우울증 징후일 수 있습니다. 우울증은 말하기와 움직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와 반대로 가만히 앉아 있기 어려워하거나 끊임없이 부산스러운 움직임을 보이는 것 또한 잠재적인 우울증의 징후일 수 있다고 합니다.
감정적 신호
우울증의 핵심적인 감정적 증상은 예전에 즐겨 했던 활동에 대한 관심이 없어진다거나, 친구나 가족과 의미있는 교류시간을 원치 않고사회적 고립 행동을 보이는 것도 우울증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며칠 동안 좋지않은 기분을 겪는 것은 감정의 변화의 일부입니다. 이것만으로 우울증인가? 생각할 수는 없어요.
기분이 좋지 않거나 우울한 기분이 적어도 2주 동안 하루도 끊임없이 지속되었는지,
혹은 그보다 더 길었는지가 우울감이 병증인지를 판가름할 수 있는 기초적인 기준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위에 제시된 신호(징후)가 2주 이상 매일같이 지속된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도록 격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증상 조기에 진단받고 전문가의 적절한 조치를 받는다면 삶의 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본 내용은 미국의 건강매체 verywellmind의 게시글을 부분 발췌/편역/윤핵하여 소개하였음을 밝힙니다.
https://www.verywellmind.com/signs-of-depression-in-older-adults-8739478
'건강정보 > 건강TalkTalk'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증에도 차이가 있다? 급성, 아급성, 만성통증의 차이 (0) | 2025.03.07 |
---|---|
콜레스테롤 수치가 널뛴다면, 체크해보세요! 콜레스테롤과 치매와의 상관 관계가 있다는 과학적 연구 결과 (0) | 2025.02.17 |
파워워킹의 장점 (파워워킹 하는 법) (0) | 2025.02.06 |
만성 메스꺼움의 원인 (울렁울렁, 미식미식한 바로 그 느낌) (0) | 2025.01.23 |
새해 계획의 스테디 플랜, 독서가 주는 건강 이점 (0) | 2025.01.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