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후염&인후통의 다양한 원인
단순한 목감기로 생각할 수 있는 인후에 염증이 생겨 통증을 느끼는 것은 알고 보면 다양한 원인이 있다고 합니다.
미국 캘리포니아에 위치한 의료 컨소시엄인 Kaiser Permanente의 전염병 전문가 Stephen Parodi, MD에 따르면 인후염의 일반적인 원인은 감염성 사례와 비 감염성 사례로 나눌 수 있으며, 감염성 인후염은 감기와 같은 바이러스나 패혈성 인두염과 같은 세균 감염 여부로 분류하는 반면, 비 감염성 인후염은 알레르기, 흡연 또는 GERD와 같이 염증, 자극 또는 인후 손상을 유발하는 다른 요인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고 합니다.
이러한 요인들은 인두염(인후염)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인후는 편도선이나 성대와 같은 특정 감염이 발생할 수 있는 다른 조직을 가진 기관으로 이를 각각 편도선염 및 후두염이라고 합니다.
인후염의 전염성 원인 - 바이러스 감염
다양한 바이러스 감염은 특히, 상부 호흡기 감염이 인후염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감기의 병원체 중 하나인 리노바이러스(라이노바이러스)입니다. 이 바이러스는 목 세포의 면역 시스템에 침입에 특화된 경향이 있어 이로 인한 인두의 손상 또는 염증을 발생할 수 있으면 심한 경우 염증과 손상을 동시에 일으키기도 합니다.
리노바이러스 외 인후의 염증과 손상을 일으키는 바이러스 감염의 예는 다음과 같습니니다.
-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독감)
- 단핵구증
- Coxsackievirus (수족구 질환 바이러스)
- 수두 바이러스 (수두 및 대상 포진에 해당)
- 단순 포진 바이러스
바이러스 감염은 항생제에 반응하지 않으므로, 반드시 병원에 가서 정확한 진단과 처방이 필요합니다.
비전염성 원인 - 세균 감염
박테리아 감염은 바이러스보다 흔치 않지만 항생제 치료 특히, 패혈성 인두염의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기 때문에 진단이 중요하다고 합니다. 바이러스 감염과 마찬가지로 박테리아 감염은 염증과 같은 면역 반응을 유발하여 인후염을 유발합니다. 하지만, 원인이 다른 만큼 바이러스 감염과 달리 세균 감염은 항생제로 치료해야 한다고 합니다.
박테리아 감염의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
- 연쇄 구균 인두염 (인후염)
- 포도상 구균 감염
- 임질 및 클라미디아와 같은 성병
- 알레르기
비전염성 원인 - 흡연 및 간접흡연
흡연으로 인한 기침이 인후염을 유발할 수 있다고 합니다.
비전염성 원인 - 건조한 공기
흡연과 마찬가지로 건조한 공기는 기침을 유발하여 인후염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비전염성 원인 - 위식도 역류 질환 (GERD)
위의 인후염의 비 감염성 원인과 달리 GERD는 인후 조직과 내막에 직접적인 염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위식도 역류 질환(흔히, 역류성 식도염)은 속 쓰림이 인후에 영향을 미칠 때 이를 역류성 후두염이라고 합니다. “위의 내용물 (산과 효소)이 식도로 올라갈 때, 목뒤에서 가장 먼저 닿는 곳은 식도보다 더 민감한 후두 또는 후두입니다. 이것이 염증을 일으킨다고 합니다.
목의 염증에 의해 통증(인후통)을 나타났을 때, 반드시 병원에 방문해야 하는 경우
- 인후통과 함께 체온이 고열(섭씨 38도 이상)이 나타날 때
- 이틀이 지나도록 인후통이 극심하고 가라앉을 기미가 보이지 않을 때
- 침을 삼키기 어려울 정도로 목이 아플 때
- 목과 함께 혀가 부어올라 있을 때
- 목을 움직일 수 없거나 입을 벌리기조차 어려울 때
덧붙이는 말.
** 요즘은 코로나19바이러스 (COVID-19)에 대해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할 때입니다.
고열과 함께 인후통이 수반된다면 일반의약품 섭취나 단순히 병원을 방문하기보다는 각 지역 내 선별 진료소와 연락을 취해 방문과 검진을 안내받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보건복지부에서 안내하고 있는 나의 지역에 국민안심 병원을 검색하여 전화를 통해 안대를 받으시고 방문하시는 것을 권유 드립니다.
국민안심 병원 조회해보기 > https://www.mohw.go.kr/react/popup_200128.html
본 내용은 미국의 건강 매체 prevention에서 부분 발췌/편역하여 소개하였음을 밝힙니다.
https://www.prevention.com/health/a20447371/9-causes-of-a-sore-throat/
함께 보시면 좋을 콘텐츠
https://hyperthermia.tistory.com/824
'건강정보 > 건강TalkTalk'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작심삼일은 그만! 지속적인 변화를 위한 방법 (상위 목표와 하위 목료를 이용한 목표 달성법) (0) | 2022.01.28 |
---|---|
구강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5가지 (0) | 2022.01.17 |
매일 걷기의 효과 (만보걷기, 정말 건강에 좋을까?) (0) | 2022.01.05 |
새해, 목표 설정을 위한 팁 (0) | 2021.12.31 |
성탄절, 함께 나누면 좋은~ 다섯가지 사랑의 언어 (0) | 2021.12.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