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암정보/암정보,치료법

암에 대한 미신적 정보와 오해(4) - 직화구이(그릴), 피임약, 호르몬제, 소의 성장 호르몬 주사와 암 발병 (미국 암 협회 자료)

by 항암온열치료포럼 2025. 1. 14.

암은 원인이 다양한 복잡한 질병이며, '당신의 암의 걸린 이유가 무엇입니다.'라고 명확히 집어 말하기 어려운 질병인데요. 우리나라 국립암센터를 비롯한 세계 유수의 많은 암 연구기관에서는 영양, 체중 및 신체활동이 암과의 상관관계가 있다고 밝히고 있는데요. 이렇게 불분명하다고 밝히고 있는 암의 발병 요인들을 미국 암 협회 사이트에서는 분명한 발암요인과 미신적 정보를 구분해 소개하고 있는 페이지가 있어, 정리해 소개하는 네번째 포스팅입니다.

암에 대한 미신적 정보와 오해(4)

 

직화구이(그릴) 조리법이 암을 유발한다? (정답은 △)
여러 연구에서는 그릴링과 암 위험 증가 사이의 연관성을 확인하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육류를 직화구이(그릴 조리법)로 고온에서 조리하면 발암물질로 알려진 PAH(다환 방향족탄화수소)과 HCA(헤테로고리아민-이족환식아민 heterocyclic amine)이 고기에 형성될 수 있는데요. 한 시험에서는 HCA와 PAH가 암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는 DNA의 변화를 일으킬 수 있음을 보여준 바 있다고 합니다.

 

 

피임약은 암 발생과 연관성이 있다? (정답은 O) 
현재까지의 연구에 따르면 복합 피임약(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 함유), 프로게스테론 단독 피임약, 피임 패치(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 함유)를 포함한 호르몬 피임약을 사용하는 여성은 복용 피임약을 사용하지 않는 여성에 비해 유방암 위험이 증가합니다. 

하지만, 이 연관성을 확증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한 상태이며, 단독 피임약 (프로게스테론 제제)과 유방암 발병 사이의 연관성도 보다 많은 확증 연구가 필요한 단계라고 밝혔습니다.

또한 피임약과 패치를 함께 사용하는 복합 피임법(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의 장기간 사용과 자궁경부암 발병 위험 증가 사이의 연관성을 시사하는 일부 연구가 있습니다. 복합 피임약을 복용 중에는 유방암과 자궁경부암 발병 위험이 약간 증가하지만 복용을 중단하게 되면 발병 위험이 복용하지 않은 여성과 동일한 수준으로 서서히 돌아간다는 연구결과가 있습니다. (피임약을 복용하지 않은 여성과 동일한 수준으로의 회복은 복용 중단 후 10년인 것으로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고 합니다.)

프로게스테론 단독 제제 피임약을 복용한 여성도 복용 중단 후 암 발병 위험이 중단 시간 경과에 따라 서서히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아직 충분한 수준에 도달하지 못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너무 걱정하지 마세요. 모든 형태의 호르몬 피임법 사용으로 인한 암 발병 위험 증가는 매우 적으며 많은 여성의 경우 위험성보다는 이점이 더 클 수 있습니다. 하지만, 피임약 복용 선택에 앞서 암 위험에 대해 우려하는 경우 전문 의사와 선택 사항에 대해 논의 후 결정하실 것을 추천드립니다. 

​반면, 호르몬 피임약(패치 포함) 복용이 예방하는 암종도 있는데요. 피임약을 오래 복용할수록 난소암의 발병 위험률이 감소하고, 자궁내막암은 피임약 복용 중단 후 최소 15년간 발병 위험을 낮춰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간암 그리고 대장암의 발병 위험도 줄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만 호르몬 피임약과 암 예방과의 연관성도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금연, 건강한 체중 유지, 꾸준한 운동, 건강한 식단 섭취가 암 위험을 줄이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 임을 기억해 주세요. 

 

 

호르몬 대체요법(HRT)이 암 연관성이 있다? (정답은 O)
갱년기 증상(열감, 식은땀, 기분 변화 등) 감소를 위해, 처방되는 HRT는 에스트로겐의 양을 신체에서 증가시키는 작용을 하는데요. 호르몬 대체요법은 유방암, 자궁내막암 및 난소암의 위험이 증가한다는 증거가 있습니다. 여성의 HRT(호르몬 대체요법)의 유형, 복용 기간 및 복용량에 따라 암 발병 위험성은 상이하며, 암 발병 위험은 경미한 수준이라고 합니다. 현재까지의 연구에 따르면 단점보다는 장점이 더 많은 HRT는 갱년기 증상 완화를 통한 삶의 질 향상 외에도 여성의 결장암과 직장암 골다공증 발병 위험을 낮출 수 있다고 합니다. 

개인의 단순한 판단으로 갱년기 증상 완화를 위해 무분별한 호르몬제 선택 복용보다는 전문의와 상담을 통해 호르몬요법의 시작과 종료를 결정하실 것을 추천드립니다. 유방암 위험을 최소화하면서도 폐경기 증상 완화를 위해 호르몬 요법을 선택하고 싶다면 복용 기간과 용량에 대한 상담이 필수이니 반드시 전문의를 찾아가세요. 

 

앞서 호르몬요법이 암 발병 위험 수준이 경미하다고 밝혔지만, 
다음과 같은 암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사실입니다.

호르몬요법(HRT)은 유방암 발생과 관련이 있습니다.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 호르몬 포함하는 호르몬요법을 함께 복용하면 유방암 위험이 증가합니다. (단, 에스트로겐 단독 요법의 경우 유방암 발병 관련성에 대한 연구 증거는 복합요법에 비해 덜 명확한 상태이며 유방암 발생 위험도 복합요법에 비해 적습니다.) 복합 HRT를 복용할수록 유방암 발병 위험이 약간 증가하지만 중단하면 위험이 점차 감소합니다. HRT를 중단한 지 5년 후 여성의 유방암 발병 위험은 HRT를 전혀 복용하지 않은 것과 같습니다.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은 일부 유방암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만, HRT 복용으로 인해 이러한 호르몬 수치가 높아져 유방암 발생 위험이 증가하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지만 아직은 확정 지을 수 없는 단계입니다.

호르몬요법(HRT)은 자궁내막암 발생과 관련이 있습니다. 
에스트로겐 단독 HRT는 자궁내막암의 위험을 증가시킨다는 강력한 증거가 있습니다. (반면, 복합 HRT와 자궁내막암과의 관련성은 상대적으로 덜 명확한 상태입니다.) 자궁내막암 위험의 증가는 에스트로겐 단독 HRT보다 복합 HRT를 사용하는 여성이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복합 HRT 시행 시, 정확한 용량의 프로게스테론을 사용하면 자궁내막암 발생 위험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도 있다고 하지만 아직 이를 입증하지 못한 상태입니다.

호르몬요법(HRT)은 난소암 발생과 관련이 있습니다. 
여러 확증적 연구에 따르면 복합 HRT 및 에스트로겐 단독 HRT를 모두 난소암 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위험성의 정도는 경미한 수준이지만, HRT을 복용하기 시작한 직후부터 난소암 발생에 영향을 주는 것은 사실입니다. 그렇지만, HRT 복용을 중단하게 된다면 암 발병 위험이 감소하기 시작한다는 사실을 함께 기억해 주세요. 

호르몬요법(HRT)은 결장암과 직장암 발생을 낮춰준다는 일부 연구결과가 있지만, 어떤 유형의 호르몬요법이 결장/직장암 예방에 영향을 주는지와 HRT의 예방 효과가 얼마나 오래 지속되는지는 아직 연구가 불충분하므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합니다.

 

 

소의 성장 촉진을 위해 사용하는 호르몬제가 암 발생과 연관성이 있다? 
(정답은 x)

일부 축산 농가에서는 소의 성장을 촉진하고 우유 생산량을 늘리기 위해 호르몬을 투여하기도 합니다. 유럽 ​​연합 과학 위원회(European Union Scientific Committee) 보고서에 따르면 소에 사용되는 호르몬이 건강에 위험을 초래한다는 과학적 증거는 없습니다. 

하지만, 소의 호르몬제 사용에 관한 법률은 국가마다 다른데요. 예를 들어, (소의) 성장 호르몬은 미국의 낙농업에 사용되는 반면, 가축에 대한 호르몬 성장 촉진제의 사용은 영국에서는 금지하고 있습니다. 소의 우유 또는 육류 생산을 늘리는 데 사용되는 호르몬인 BST(소의 소마토트로핀)는 영국과 유럽에서 사용 금지되었지만, 미국에서는 허가하고 있는데요. 미국의 경우, FDA가 우유 및 기타 유제품의 BST 함량을 규제하여 이러한 제품이 안전하게 소비될 수 있도록 조치하고 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성장호르몬 주입 관련해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성장호르몬 주입 소 생산 우유, 인체에 위해 없어"라는 입장을 밝힌 바 있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암에 대한 미신적 정보와 오해(5) - 실내공기오염, 유전력(가족력), 전자레인지, 휴대폰 전자파 방출에 대한 포스팅을 준비하여 소개하겠습니다.


본 내용은 미국의 암 협회 사이트에서 부분 발췌/편역/윤색하여 소개하였음을 밝힙니다.
https://www.aicr.org/cancer-prevention/healthy-lifestyle/other-lifestyle-risks/#1579805805914-5d467dd4-9be8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