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기기인 휴대폰이 소량의 전자파를 방출하는 것은 사실입니다. 하지만, 휴대전화가 발산하는 무선 주파수 전자파는 미약한 수준으로 직접적으로 암을 유발할 수는 없다고 미국 암 협회에서 발간한 내용을 전하여 드린 바 있는데요.
하지만, 휴대전화와 암 발생의 연관성에 대하여서는 과학을 연구하지 않는 사람도 과학자들도 끊임없이 궁금해하는 만큼 관련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오늘 전해드릴 내용은 세계보건기구(WHO)가 발표한 휴대전화의 뇌암(뇌종양) 유발 가능성에 대한 내용입니다.
휴대전화가 뇌암을 유발할까?
세계보건기구(WHO)가 의뢰한 이 연구는 Environment International)에 게재됐다. 1994년부터 2022년까지 발표된 5,000건 이상의 연구를 조사한 체계적 문헌 고찰로, 최종 분석에는 63건의 연구가 포함되었다.이 연구는 뇌암과 신경교종, 뇌수막종, 청신경종, 뇌하수체 종양 등을 포함한 기타 중추신경계 암에 대한 연구에 중점을 두었다.
연구진은 지난 20년 동안 무선 기술 사용이 크게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뇌종양의 증가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장기간(10년 이상) 휴대전화 사용과 휴대전화 사용량(통화 횟수 또는 기기 사용 시간)이 뇌암 발생과 관련이 없다고 보고했다. 또한 전화(통신)기지국, 라디오 송신기 또는 TV 송신기의 (전자파에)노출된 아이들에게서 뇌암이나 백혈병의 위험이 증가하지 않았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 보고서는 2013년 WHO의 암 관련 기관인 국제암연구소(IARC)가 전자파 노출이 발암 또는 암 유발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분류한 결정을 전면적으로 반박한 내용으로 볼 수 있다.
IARC(국제 암 연구소)의 그때의 결정이 혼돈을 야기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당시 휴대전화의 전파에 노출되는 것을 암 위험 증가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분류한 IARC의 과거 결정은 "주로 인간 관찰 연구의 제한된 증거에 근거한 것"이라고 리뷰 저자이자 호주 방사선 방호 및 원자력 안전국(ARPANSA)의 부교수인 Ken Karipidis가 성명을 통해 전하였다. 또한, "인간 관측 연구에 대한 이번의 체계적인 검토는 IARC가 조사한 것보다 훨씬 더 큰 데이터 세트를 기반으로 하며, 여기에는 더 최근의 더 포괄적인 연구도 포함되어 있으므로 무선 기술의 전파 노출이 인간의 건강에 위협이 아니라는 것을 더 확신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핵 폭탄을 비롯한 핵(방사선)을 기반한 물질은 이온화 상태로 전리 방사선 물질은 DNA 손상을 일으켜 암을 발생할 수 있지만, 휴대폰에서 발생하는 전파의 종류는 비이온화(non-ionizing) 상태로 알려져 있습니다.
- Daniel Landau, M.D.(사우스캐롤라이나 의과대학 혈액종양학과)-
결론적으로
2011년 5월, IARC는 무선 주파수 전자기장(RF-EMF)을 인체에 발암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분류했었지만, 최근 밝혀진 대규모 연구 사례 검토를 통해 휴대전화 사용이 신경교종, 뇌수막종, 청신경종을 포함한 뇌암의 위험을 증가시킬 가능성이 거의 없다는 것을 밝혔습니다. 또한, Landau박사는 '휴대전화를 처음 사용한 이례로 현재까지 많은 시간이 흘렀기 때문에 휴대폰과 암 위험 사이에 정말로 관계가 있다면 지금쯤 명확한 연관성이 드러났을 것'이라고 전하였습니다.
하지만, '이 연구가 암 외에 아직 파악하지 못한 건강을 위협하는 요소의 가능성까지 검토한 것은 아니므로, 휴대전화를 오랜 시간 동안 머리 가까이 두는 것은 피할 것을 권장'한다고 함께 밝혔습니다.
'암정보 > 암정보,치료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암에 대한 미신적 정보와 오해(4) - 직화구이(그릴), 피임약, 호르몬제, 소의 성장 호르몬 주사와 암 발병 (미국 암 협회 자료) (0) | 2025.01.14 |
---|---|
암에 대한 미신적 정보와 오해(3) 보습제, 샴푸, 치약과 암 발병, 유제품 섭취와 유방암, 식품 첨가물질, GMO식품과 암 발병 (미국 암 협회 자료) (1) | 2025.01.07 |
암에 대한 미신적 정보와 오해(2) 유방보형물, 탄 음식, 커피, 컴퓨터 화면 (0) | 2024.12.23 |
암에 대한 미신적 정보와 오해(1) - 흡연, 자외선, 면역, 감염 (미국 암 협회 자료) (4) | 2024.12.19 |
한국인의 7대 암(7) 갑상샘암(갑상선암)_치료 항암제의 종류 (0) | 2024.08.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