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암정보/암정보,치료법

신장암의 정의, 예방법, 관련통계

by 항암온열치료포럼 2019. 11. 11.

 

지난 암정보 포스팅에서는 7대암(대장암, 갑상선암, 위암, 자궁경부암, 간암, 유방암, 폐암)에 대해 집중적으로 소개해왔다면,

우리 몸에 또다른 중요 장기인 신장암에 대해 소개해볼까 합니다.
이번 시간에는 신장암의 정의, 예방법, 관련통계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지난 포스팅이 궁금하시다면!
신세포암의 증상과 발생요인 https://hyperthermia.tistory.com/726

신장암(신세포암)이란?

신장에서 발생하는 종양은 발생하는 위치에 따라 신실질에서 발생하는 종양과 신우에서 발생하는 신우암으로 구분합니다. 신실질의 종양은 다시 신장 자체에서 발생한 원발성 종양과 다른 장기에서 발생한 종양이 신장으로 전이한 신전이종양으로 구분합니다. 

신장에서 발생한 종양의 대부분은 원발성 종양입니다. 그 중에서 85~90% 이상은 악성종양인 신세포암이므로 우리가 일반적으로 신장암이라고 하면 신실질에서 발생하는 악성 종양인 신세포암을 의미합니다.

의학적으로 신장암이란 신장에 생긴 암이라는 뜻이므로 신장에서 발생한 원발성암 및 타 장기에서 신장으로 전이한 암을 모두 포함하는 말입니다. 신세포암과 신우암뿐만 아니라, “윌름스 종양”, 신장에 발생한 육종 등도 원발성 신장암이며, 신장으로 전이한 암도 넓은 의미에서는 신장암입니다. 

신우암은 신장에서 발생하는 암의 5∼10%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신실질이 아니라, 신장에서 만들어진 소변이 모여 요관으로 연결되는 깔때기 모양의 신우에서 생기는 암으로, 방광이나 요관에서 생기는 것과 같은 요로상피암이 주로 발생합니다. 성인과 달리 소아들에게는 “윌름스 종양”이라고 하는 신모세포종이 발생하는데, 이는 소아에게 가장 흔한 신장암으로 소아암의 3~6% 정도를 차지하며, 주로 7세 이전에 발생하고 3세경에 그 발생빈도가 가장 높습니다. 

 

예방법


과다한 동물성지방 섭취, 튀기거나 심하게 구워진 육류 섭취, 고 에너지 음식의 섭취 등이 신세포암 발생의 위험도를 높이며, 과일 및 채소류 섭취, 저칼로리 식이, 비만 방지 및 규칙적인 운동 등은 신세포암 발생의 위험도를 감소시킵니다. 
그러므로 신세포암의 예방을 위해서는 동물성 지방은 적게 섭취하고, 과일과 채소는 많이 섭취하는 식이조절과 함께, 규칙적인 운동을 하는 일반적인 건강관리 및 체중조절이 도움이 됩니다. 또한 고혈압은 신세포암 발생의 위험인자이므로 적절한 혈압조절이 필요합니다. 더불어 흡연은 신세포암 발생의 가장 강력한 위험인자이므로 암 예방을 위해서 금연은 필수적입니다. 한편, 신세포암의 대부분은 초기에 자각 증상이 없어 건강검진을 통한 주기적인 복부 초음파 검사 등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관련통계


2017년에 발표된 중앙암등록본부 자료에 의하면 2015년 우리나라에서는 214,701건의 암이 발생했는데, 그 중 신장암은 남녀를 합쳐서 4,555건으로 전체 암 발생의 2.1%를 차지했습니다. 
​남녀의 성비는 2.3 : 1로 남자에게 더 많이 발생했습니다. 발생 건수는 남자가 3,134건으로 남성의 암 중에서 10위를 차지했고, 여자는 1,421건이었습니다. 남녀를 합쳐서 연령대별로 보면 50대가 27.7%로 가장 많았고, 60대가 25.2%, 70대가 19.1%의 순이었습니다. 

조직학적으로는 2015년의 신장암 전체 발생 건수 4,555건 가운데 암종(carcinoma)이 91.0%를 차지했습니다. 암종 중에서는 신세포암이 89.4%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편평, 이행세포암이 0.7%를 차지했습니다.

(암종이란 암의 거의 전부를 차지하는 유형으로 표피나 점막, 샘 조직 같은 상피조직에서 생기는 악성 종양을, 육종은 비상피성 조직에서 발생하는 악성 종양을 이릅니다. ‘암종’과 ‘암’은 본디 같은 말이나, ‘암’의 경우엔 육종까지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쓰입니다.)

 


 

해당 내용은 국가암정보센터에서 발췌하였음을 밝힙니다.
국가암정보센터 > 내가 알고 싶은 암 > 신장암
https://www.cancer.go.kr/lay1/program/S1T211C708/cancer/view.do?cancer_seq=4373&menu_seq=437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