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슈퍼푸드 (오크라, 템페, 기버터, 재거리, 모크테일)
2024슈퍼푸드: 포니오, 카무카무, 만카이, 소간을 비롯한 부속고기 2023슈퍼푸드: 카타멈, 야폰, 대추야자, 형형색색 콩들, 저알콜&논알콜음료2022슈퍼푸드: 라임쿼트, 보이차(푸얼차), 포멜로, 샐러리악(셀러리악), 테프, 쇠비름, 타히니2021슈퍼푸드: 병아리콩가루, 호로파씨(페누그릭), 아마란스, 자색당근과 보라고추2020슈퍼푸드: 메밀, 발효식품(김치&발효흑마늘), 암라베리(인디언구즈베리)와 골든베리, 브로콜리 싹2019 슈퍼푸드: 카사바 밀가루, 마카 가루, 햄프씨드오일, 잭푸루트, 캐피어요거트 2018 슈퍼푸드: 차가버섯, 다시마, 수박씨, 마퀴베리, 핑크 파인애플(보라색 참마), 모링가 2017슈퍼푸드: 해조류 유래 오메가3, 프로바이오틱 워터, 강황가루, 타이거너츠(너트), 수..
2025. 1. 9.
암에 대한 미신적 정보와 오해(3) 보습제, 샴푸, 치약과 암 발병, 유제품 섭취와 유방암, 식품 첨가물질, GMO식품과 암 발병 (미국 암 협회 자료)
암은 원인이 다양한 복잡한 질병이며, '당신의 암의 걸린 이유가 무엇입니다.'라고 명확히 집어 말하기 어려운 질병인데요. 우리나라 국립암센터를 비롯한 세계 유수의 많은 암 연구기관에서는 영양, 체중 및 신체활동이 암과의 상관관계가 있다고 밝히고 있는데요. 이렇게 불분명하다고 밝히고 있는 암의 발병 요인들을 미국 암 협회 사이트에서는 분명한 발암요인과 미신적 정보를 구분해 소개하고 있는 페이지가 있어, 정리해 소개하는 세 번째 포스팅입니다. 암에 대한 미신적 정보와 오해(3) 보습제, 샴푸, 치약 및 화장품에 사용된 화학 물질이 암을 유발한다? (정답은 △)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암과 보습제, 샴푸, 치약 및 화장품에 사용된 화학물질 사이에 연관성이 없음이 밝혀졌습니다. 많은 국가에서는 이러한 제품의 안전을..
2025. 1.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