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건강TalkTalk

영유아와 고령층이 특히 주의해야 할 RS바이러스(호흡기 세포 융합 바이러스)와 감기의 차이점

by 항암온열치료포럼 2024. 10. 16.

RSV, 호흡기 세포 융합 바이러스를 들어보셨나요?

코로나19 바이러스 이후로, 무슨 무슨 바이러스- 하면 두드러기가 올라오며 거부반응이 생길 수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만, 영유아나 노령층은 특히 주의해야 하는 호흡기 질환 바이러스이므로 알아두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RSV(RS바이러스- 호흡기 세포 융합 바이러스)는 일반 감기와 동일한 증상을 보이는 관계로 병을 겪는 당사자나 영유아나 노약자의 보호자가 구분하기 어렵다고 합니다. 유아동 뿐만 아니라, 노령층의 경우 하기도로 RSV가 퍼진다면 호흡곤란이나 청색증을 보인다면 응급치료가 필요할 만큼 위중하고 위험할 수 있다고 해요. 물론, 경미한 증상의 경우 병원 방문을 통해 정확한 진단과 처방을 받는다면 위험한 단계에 이르지 않고 집에서 휴식과 관리를 해준다면 회복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질병관리본부 감염병 센터 인플루엔자바이러스팀에서 발표한, 2007 급성 호흡기 감염증 원인 바이러스 유행양상 이라는 보고서에 따르면, 환자의 70.8%가 5세 이하의 소아환자가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호흡기 질환이 호발하는 환절기인 3월과 10월 그리고 겨울에 호흡기 감염증 환자가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이때, 검사 결과 검출된 바이러스 분포 순으로는 라이노바이러스 - RS바이러스 - 아데노바이러스 - 보카바이러스 순이었고, 인플루엔자바이러스의 경우 A형독감 2형 - B형독감 - A형독감 1형 순으로 검출되었으며, 파라바이러스나 코로나 바이러스(** 코로나19가 아닌 다른 코로나 바이러스 유형) 또한 검출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출처: https://www.kdca.go.kr/filepath/boardDownload.es?bid=0034&list_no=12144&seq=1

 

병원에서 바이러스 테스트를 받지 않고서는 그냥 일반 감기라고 생각할 수 있어, 별다른 요청이 없다면 단순 감기 증상으로 진단할 수 있으므로 감기와 RSV는 어떤 증상적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두셨다가, 병원에 방문하였을 때 바이러스 테스트를 요청해 정확한 진단과 처방을 받으시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RSV(호흡기 세포 융합 바이러스)와 감기의 차이점

 

감기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인생에서 한 번쯤 혹은 1년에도 몇 번씩 걸리는 질병입니다. 추워서 걸린다기보다는 환절기 갑자기 변화된 날씨에 면역력이 떨어진 틈을 타 바이러스가 조금 더 쉽게 침투해서 발병하게 되는 것이라 이해할 수 있는데요. 200여 가지의 서로 다른 바이러스 중 하나로 인해 발생하지만 라이노바이러스가 가장 흔한 원인입니다. (지금 이 시간에도 감기 바이러스의 종류는 늘어날 수 있어요ㅠ!!) 전염성이 매우 높은 이러한 바이러스는 (우리가 코로나19를 통해 경험해 본 바) 대부분 비말에 의해 전염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RSV(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란
감기와 마찬가지로 호흡기 세포 융합 바이러스는 폐와 기도에 발생하는 바이러스 감염입니다. 미국 메이요 클리닉(Mayo Clinic)의 설명에 따르면 , 이름은 낯설지만 매우 흔한 바이러스의 일종으로 대부분의 어린이가 2세가 될 때까지 이 바이러스에 감염된다고 합니다. (물론, 성인에게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건강한 성인과 어린이의 경우 증상은 종종 경미하고 일반 감기와 비슷하지만, 바이러스 감염이기 때문에 항생제로는 치료할 수 없다고 합니다.

 

  감기 RSV
감기 바이러스 체내 침투 후 2~3일 뒤 발현 2~8일 뒤 발현
(만 3세 이상 유아와 건강한 성인의 경우) 감기와 거의 비슷하게 발현 됨 → 이미 RSV에 대한 면역력이 구축된 상태
증상 지속기간 며칠~몇 주 (개인의 컨디션과 회복 속도에 따라 다름)
증상 코막힘 또는 콧물, 목이 따갑거나 간지러움, 재채기, 눈물, 미열, 인후통, 경미한 기침, 근육 및 뼈 통증, 두통, 가벼운 피로, 오한 코막힘이나 콧물 , 마른 기침, 미열, 인후통 및 가벼운 두통, 식욕감소
악화 증상 콧물이나 가래가 투명한 색에서 노란색 혹은 녹색으로 변화함 / 귀와 같은 곳에 2차 감염 발생 (감기와 달리 매우 빠른 속도로) 모세 기관지염으로 진행되며 천명음(쌕쌕거리거나 쇳소리로 호흡하는 소리) 발생과 기침이 심해 짐
응급을 요하는 상황 고온 발열  호흡곤란, 청색증(숨쉬기가 어려워 입술이나 손톱이 파랗게 되거나 회색빛을 띰), (호흡이 곤란해져) 음식물 섭취나 수면에 어려움을 호소

 

 

영유아의 RSV 발병
6개월 미만의 영유아는 RSV감염에 가장 취약한 그룹이라고 합니다. 이들 그룹에게서 가장 흔한 증상은 발열, 코막힘 또는 콧물(콧물), 기침인데요.미국, 클리블랜드 클리닉(Cleveland Clinic)의 설명에 따르면, 모든 아기가 기침이나 콧물과 같은 RSV의 "전형적인" 징후를 보이는 것은 아니라고 지적합니다. 언어 표현이 없는 영유아들의 증상에는 까다로움이나 과민성, 수유 불량, 무기력함, 활동 저하, 고통을 초래할 수 있는 얕고 빠른 호흡 등의 증상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아기의 호흡이 가쁜 느낌을 확인하려면 거친 숨소리나 호흡할 때 콧구멍이 전과 달리 확대되는지, 숨을 잠시 멈췄다 몰아쉬는지도 관찰해 보는 것이 응급도를 판단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기저 질환을 가진 영유아의 경우는 RSV로 인해 가지고 있는 병증이 악화되지 않도록 살피며 병원 방문 타이밍을 놓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노인의 RSV 발병
노년층의 경우, 면역체계가 저하되어 RSV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천명음(숨쉴 때 쌕쌕거리는 소리)이나 호흡 곤란을 유발할 수 있는 폐렴과 같은 하부 호흡기 감염이 발생할 가능성이 더 높다고 하는데요. 고령층의 경우, 심각하게는 산소 공급의 필요성과 함께 입원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즉각적인 응급 치료가 필요한 극단적인 증상으로 입술 또는 손톱의 청색증(푸른 색조), 고열, 천명음을 동반한 심한 기침, 호흡 곤란 등이 있습니다. 특히,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경우는 65세 이상의 고령층이며, 면역 체계가 약한 노년층, 심장이나 폐에 기저질환을 가지고 있는 분들은 발병 후 증상이 악화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감기와 RSV의 가장 큰 차이점
미국, 메이요클리닉에 따르면, 감기와 달리 RSV는 하부 호흡기로 퍼져 폐렴이나 모세 기관지염을 유발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고 전하였습니다. 가장 큰 지표는 호흡의 변화로 '호흡의 주기가 짧거나 밭은 숨'을 쉬고 있는 건 아닌지 감기로 의심되는 증상을 겪고 있는 영유아나 고령의 가족을 잘 살피는 것이 좋습니다. 

감기와 RSV를 구별하는 또 다른 주요 지표는 재채기와 콧물입니다. 미국의 건강 매체 WebMD에 따르면, RSV에 걸린 사람들은 재채기를 훨씬 더 많이 하고 콧물과 함께 호흡 시, 쌕쌕거림으로 인해 콧물이 많이 나올 가능성이 높다고 전하였습니다.  ** 천명음(쌕쌕거림)이 발생되는 이유는 폐의 작은 기도에 염증이 발생했기 때문이라고 하네요. 

​RSV의 치료
불행히도, 세균 감염이 아닌 바이러스에 의한 것이므로 항생제는 효과가 없는 편이라고 합니다. RS바이러스가 검출된 경우는 항바이러스제 처방과 함께 겪고 있는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는 처방 약을 복용하고 휴식, 수분 섭취 증가, 식염 가글, 코막힘 완화를 위한 가습기 사용 등 감기를 겪었을 때 취하는 방법들이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가벼운 RSV의 경우는 가벼운 감기 증상과 마찬가지로 신체 면역작용에 의해 대개 1~2주 내에 저절로 사라지기도 한답니다. 

​RSV 예방
노인과 임산부를 위한 RSV 백신과 영유아를 위한 항체 예방접종도 있다고 합니다. 특히, 호흡기 바이러스가 빈발하는 환절기(3월과 10월)이나 급격한 기온 변화를 겪는 날씨 혼잡한 실내 공간에서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도 당신을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코로나19로 비롯된 건강한 습관인, 외출 후 돌아왔을 때는 비누와 물로 20초 이상 손을 씻고, 씻지 않은 손으로 얼굴을 만지지 말고,  타인과의 긴밀한 접촉을 피하고, 문고리, 휴대폰 등 자주 손으로 만지는 표면을 깨끗이 닦아주는 것도 RS 바이러스를 비롯한 각종 질병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본 내용은 미국의 건강매체 Active beat와 Prevetion에서 부분 발췌/편역/윤색하여 소개하였음을 밝힙니다. 

참고1) https://activebeat.com/your-health/rsv-vs-cold-whats-the-difference/
참고2) https://www.prevention.com/health/a45572951/covid-flu-rsv-symptoms/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