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미노산(amino acid)은 단백질을 구성하는 기본적인 성분을 말합니다. 렌틸콩이나 그릭 요거트와 같이 단백질이 풍부한 음식을 먹으면 몸에서 단백질을 아미노산이라는 작은 조각으로 소화하거나 분해합니다. 아미노산은 소화관에서 혈류로 흡수됩니다. 신체의 모든 세포에는 단백질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단백질과 이를 구성하는 아미노산은 근육, 뼈, 연골, 피부 및 혈액을 포함하는 단백질 조직을 만들거나 복구하는 데 필요하다고 하는데요. 출처: 생화학백과(네이버 지식백과)
필수아미노산과 비필수 아미노산 그리고 조건부 필수 아미노산을 알려드리고 각 아미노산의 특징을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필수 아미노산 (체내 합성할 수 없어서, 음식을 섭취해서 공급받는 아미노산) |
비필수 아미노산 (체내의 다른 아미노산으로부터 합성될 수 있는 아미노산) |
- 메티오닌(메싸이오닌) - 류신(루신) - 이소류신 - 발린 - 라이신 - 페닐알라닌 - 히스티딘 - 트레오닌 - 트립토판 |
- 알라닌 - 아스파트르산 - 아스파라진(아스파라긴) - 글루탐산 - 세린** |
조건적 필수 아미노산 | |
- 아르기닌(아르지닌) - 시스테인** - 티로신(타이로신)** - 글루타민** - 글라이신(글리신) - 프롤린** - 타우린 |
|
**표시: 유아기나 아프거나 다쳤을 때, 수술 후 부족해질 수 있어서 별도의 복용이 필요한 조건 필수 아미노산으로 구분되는 것 | |
분류 출처: 보건복지부, 한국영양학회 발간 - 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 기준 |
조건적 필수 아미노산(6) 프롤린
아미노산은 단백질 분자의 가장 기본적인 조성 물질을 말하며 크게 필수 아미노산과 비필수 아미노산으로 나뉘어 집니다. '필수 아미노산'이라 함은 체내에서 합성되지 않고 반드시 식품으로 섭취해야 되는 아미노산으로 류신, 라이신, 메티오닌, 발린, 이소류신, 트레오닌, 트립토판, 페닐알라닌 등 8가지가 전통적으로 구분했습니다. 과거 히스티딘을 유아기에만 더하는 준필수 아미노산으로 보았지만, 최근 들어서는 성인에게서도 필수 아미노산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근거: 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에너지와 다량영양소 편) '비필수 아미노산'으로는 글리신, 알라닌, 세린, 아스파라긴산, 글루탐산, 프롤린, 옥시프롤린, 아르기닌, 시스틴, 히스티딘, 티로신 등이 있습니다. 반드시는 아니지만, 체내 합성량이 대사적 요구량을 충족시키지 못할 경우 식이를 통한 공급이 필요한 아미노산이, 바로 조건적 필수아미노산이며 오늘 소개할 프롤린이 이에 해당합니다. 프롤린(Proline)은 글리신(조건적 필수아미노산 중 하나), 하이드록시프롤린(프롤린과 함께있는 아미노산) 등과 함께 콜라겐을 구성하는 주요 아미노산으로 통상 콜라겐의 15% 정도가 프롤린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콜라겐 합성과 유지에 큰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프롤린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아미노산은 단백질을 만드는 원료 인데 비필수 아미노산은 음식을 통해 섭취하지 않아도 우리 몸 안에서 스스로 합성되는 아미노산을 말하는데, 프롤린은 생체내에서 L-글루탐산으로부터 합성되기 때문에 필수아미노산으로 분류되지는 않지만, 식품에 함유된 온전한 상태의 프롤린을 섭취하면 프롤린의 체내 수치를 높이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에 식품을 통한 섭취가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L-프롤린은 각종 제약, 생명공학 분야의 연구 소재로 사용하고 있으며, 식품 분야에서는 프롤린 자체에는 맛이 있는데 프롤린과 당을 가열하면 아미노카보닐반응이 일어나, 좋은 향기가 나며 갈색으로 착색된다고 합니다. 이 반응을 이용하여 빵을 만드는 데에 사용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식품 첨가물로 영양 강화제로 쓰이기도 합니다.
프롤린의 역할
콜라겐을 구성하는 주요 아미노산인 프롤린 전체 비중의 15% 이상으로 이는 콜라겐의 합성과 유지에 프롤린이 얼마나 큰 역할을 하는지 알 수 있다. 콜라겐(collagen)은 체내에서 세포와 세포가 떨어지지 않도록 마치 접착제 같은 역할을 하는 단백질로 보통 사람 체중의 16%가 단백질이며, 이 중 약 3분의 1이 콜라겐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세포의 접착제뿐 아니라 피부, 관절 결합조직의 건강에 중요한 콜라겐을 구성하는 요소인 프롤린은 항산화 작용과 면역 조절을 돕는다고 합니다. 또한 다른 아미노산들과 마찬가지로 근육 에너지를 지원하는 역할도 합니다.
프롤린을 보충제로 섭취했을 때의 효능
1) 피부 건강관리 및 콜라겐 합성 촉진
글리신을 포함한 콜라겐 펩타이드 보충제가 피부 노화를 감소시키고 보습효과를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과학적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2) 관절 및 연골 건강 지원
콜라겐은 관절과 연골의 구성성분으로, 프롤린과 글리신을 포함한 콜라겐 보충제를 섭취한 환자들에게 관절 통증 감소가 관찰됐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3) 상처치유 촉진
상처 회복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수술 후 상처 치유 가속화를 돕고 조직 재생 개선에 기여한다고 합니다.
4) 근육 회복과 운동 능력 향상
다른 아미노산들과 마찬가지로 운동 후 근육 손상을 감소시키고 근육 섬유 회복을 돕는 역할을 한다고 합니다.
5) 위 점막 보호
장 점막을 구성하는 콜라겐 형성을 도우므로 장벽 기능을 강화회 장점막 손상을 완화 및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데 기여한다고 합니다.
프롤린을 보충제로 섭취했을 때의 권장량
프롤린(proline)의 일일 권장량은 공식적으로 발표된 자료가 없습니다. 하지만, 과학적 연구 및 권고 사항들을 기반으로 산출한 복용량입니다.
- 일반 건강 유지: 1~5g/하루 (식단에서 섭취하는 양 포함)
- 콜라겐 및 관절건강 지원: 5~10g/ 하루 (Oesser et al. (1999) 과 Journal of Nutrition에 게재된 "Oral administration of 14C labeled gelatin hydrolysate leads to an accumulation of radioactivity in cartilage tissue.")
프롤린 복용 시 주의 사항(과잉 섭취 부작용)
- 고용량 섭취(10g 이상)는 복통, 설사, 복부 팽만 등 대사 과부하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기저질환: 신장 질환이나 간 질환이 있는 경우, 프롤린 보충제를 섭취하기 전에 반드시 의사와 상담이 필요합니다.
프롤린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는 음식
육류, 달걀, 해산물, 생선, 뼈 육수, 콩류, 아보카도, 녹황색 채소 등에서 섭취할 수 있습니다.
프롤린과 함께 먹으면 좋은 영양소
글리신과 비타민C
2014년 한 연구에 따르면, 프롤린과 비타민 C가 포함된 보충제를 하루 5g 섭취했을 때, 피부 탄력 및 주름 개선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습니다. 또한, 2017년 발표된 한 연구에서는 프롤린과 글리신 보충제를 10g/day로 섭취한 환자들이 관절통 감소 효과를 보고했습니다.
함께 알아보세요! 프롤린 유산균이란?
모유는 프롤린유산균을 포함한 유익균의 증식과 장내 정착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프롤린과 같은 아미노산 및 HMO, 면역성분 등이 유산균과 상호작용하여 신생아의 장 건강과 면역력을 강화하는 데 기여합니다.
이에 착안하여, 모유에서 추출된 유산균을 기반으로 한 건강 기능성 식품인 프롤린 유산균이 있는데요. 주로 모유에서 발견되는 특정 유산균 균주에 백질을 구성하는 아미노산 중 하나인 프롤린은 유산균에 주입하면 프롤린 유산균되는 프롤린 공법을 사용해 만든다고 합니다. 위산 등의 외부 요인으로부터 성분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해주며, 장까지 안전하게 유산균이 도착하여 증식하여 장 건강, 면역력 강화, 소화 기능 개선 등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오늘의 포스팅을 준비하며 참고한 사이트
기능식품신문 https://www.nutradex.co.kr/news/news.html?mode=view&cat=3&nid=120035
네이버지식백과 > 두산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59558&cid=40942&categoryId=32315
네이버지식백과 > 화학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6173793&cid=62802&categoryId=62802
네이버지식백과> 식품과학사전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6170241&cid=67725&categoryId=67725
조은오산병원 건강칼럼 > https://www.osanhospital.com/service/photo.php?boardid=column&mode=view&idx=15&sk=&sw=&offset=10&category=
네이버 지식백과> 프롤린유산균 (쇼핑용어사전)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804252&cid=51399&categoryId=51399
'건강정보 > 똑똑한식이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스트바이오틱스의 역할과 장점 (0) | 2025.05.13 |
---|---|
조건적 필수 아미노산(5) 글리신(글라이신) (1) | 2025.05.09 |
조건적 필수 아미노산(4) 글루타민 (2) | 2025.04.24 |
조건적 필수 아미노산(3) 티로신/타이로신 (0) | 2025.03.28 |
습진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는 음식 (0) | 2025.03.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