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산균 중 기능성을 가진 것이 프로바이오틱스다! 라는 인식이 자리잡자, 많은 프로바이오틱스를 활성화시키려면, 프로바이오틱스가 잘 활동할 수 있도록 먹이를 함께 공급하는 것이 좋다! 라는 이야기와 함께 프로바이오틱스의 먹이 = 프리바이오틱스가 함께 유행하게 된 것도 비교적 최근의 일입니다.
함께 보시면 좋은 콘텐츠!
https://hyperthermia.tistory.com/1291
프로바이오틱스 알고 먹기 (프로바이오틱스의 종류와 섭취 방법)
프로바이오틱스는 건강한 소화를 포함하여 많은 중요한 신체 기능에 좋은 박테리아입니다. 식단, 일상의 변화, 여행, 스트레스와 같은 생활 속 문제는 장내 좋은 박테리아의 자연적인 균형을 방
hyperthermia.tistory.com
https://hyperthermia.tistory.com/988
프로바이오틱스, 프리바이오틱스 그리고 유산균 (어떤 차이가 있을까)
광고나 건강식품에서 자주 들어본 단어 장내유익균, 프로바이오틱스 입니다. 유산균인가? 프로바이오틱스는 좀 다른 것인가? 유산균과 프로바이오틱스는 거의 같지만 약간 다른것이다... 하고
hyperthermia.tistory.com
하지만, 또 작년부터는 포스트바이오틱스라는 것이 등장했는데요. (어려워..ㅜㅜ)
그렇다면 포스트바이오틱스는 무엇일까요?
포스트바이오틱스는 프로바이오틱스(장내 유익균)가 프리바이오틱스(식이섬유를)를 소화한 후 생성되는 대사산물(발효, 생성 물질)입니다. 이러한 생리활성 화합물은 특히 염증과 체중 감량에 있어 특별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고 알려지며, 포스트바이오틱스는 염증과 체중 관리를 건강 업계에서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포스트바이오틱스에는 단쇄지방산(SCFA), 효소, 펩타이드가 포함하며, 박테리아를 필요로 하지 않아 안정성이 뛰어나고 보충제나 식품에 쉽게 첨가할 수 있습니다. 강한 위산에 취약할 수 있는 프로바이오틱스와 달리, 포스트바이오틱스는 소화 후에도 살아남아 효능을 발휘합니다. 포스트바이오틱스는 프로바이오틱스와 프리바이오틱스를 대체적으로 보완하는 역할을 하지만, 체질에 따라 생균 보충제를 섭취하기 어려운 사람들에게 매력적인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고 합니다.
포스트바이오틱스의 역할
포스트바이오틱스는 프로바이오틱스의 장점인 유익균의 생장 돕는 효과를 강화하고, 열이나 산성에 취약한 프로바이오틱스의 단점을 보완하는 역할을 합니다.
포스트바이오틱스의 효능
1) 염증 감소에 도움
포스트바이오틱스에 포함된 단쇄지방산(SCFA)효소가 체내 염증을 유발하는 분자인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제한하는 데 도움을 줘, 면역 반응을 조절하여 염증을 감소시킵니다.
2) 인슐린 민감도 향상에 도움
포스트바이오틱스에 포함된 단쇄지방산(SCFA)은 지질 대사를 조절하여 지방 연소를 돕는다고 하는데요. 이는 인슐림 민감도를 높이고 지방 축적을 줄여 체중 감량이나 신진대사 문제로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3) 염증성 장 질환 관리에 도움
염증성 장 질환에는 단쇄지방산 효소가 도움이 될 뿐 아니라, 포스트바이오틱스가 건강한 장 내벽을 유지하여 건강에 해로운 장내 미생물군이 혈류로 유입되는 위험을 줄이는 데 도움됩니다.
포스트바이오틱스의 장점
열과 산에 민감한 프로바이오틱스와 달리, 프로바이오틱스는 다양한 환경(열과 산성)에서도 효과가 유지된다고합니다. 따라서 보관과 사용이 더욱 용이한 것이 장점이라할 수 있겠네요!
포스트바이오틱스의 음식에는 없을까?
포스트바이오틱스는 케피어(요구르트/요거트), 자우어크라우트(독일 및 유럽일부의 양배추 발효절임), 콤부차와 같은 발효 식품에서 발견할 수 있습니다 .
본 내용은 미국의 건강매체 superfoodly에서 부분 발췌/편역/윤색하여 소개하였음을 밝힙니다.
원문 보러가기 > https://superfoodly.com/can-postbiotics-help-with-inflammation-and-weight-loss/
'건강정보 > 똑똑한식이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건적 필수 아미노산(6) 프롤린 (0) | 2025.05.16 |
---|---|
조건적 필수 아미노산(5) 글리신(글라이신) (1) | 2025.05.09 |
조건적 필수 아미노산(4) 글루타민 (2) | 2025.04.24 |
조건적 필수 아미노산(3) 티로신/타이로신 (0) | 2025.03.28 |
습진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는 음식 (0) | 2025.03.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