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건강TalkTalk530 간호사란? (5월 12일은 국제간호사의 날) 매년 5월 12일은 국제 간호사의 날이라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간호사의 사회 공헌을 기리기 위해 지정된 기념일로, 국제간호협의회(ICN)에서 1972년 플로렌스 나이팅게일(영국의 의 탄생일인 5월 12일로 제정하였다고 합니다. 간호사 선생님들은 가까운 병원에서도 뵐 수 있지만, 입원하게 되면 의사 선생님들보다도 더 자주 뵙는 존재가 바로 간호사 선생님들이 아닐까 싶습니다. 오늘 포스팅에 앞서, 저는 의료인이 아니고 건강 콘텐츠를 다루는 사람일 뿐이고 국제 간호사의 날을 맞이해, "간호사"란 무엇인지 각 기관에 소개된 내용을 기반으로 알려 보려했다는 점을 기억하시고 읽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미국 간호사 협회(American nurses association) - 간호의 정의 21세기 간호는 환자의 의료 .. 2023. 5. 12. 자녀의 거짓말 습관 교정을 위한 7가지 팁 때때로 거짓말을 하는 것은 일반적인 증상으로 이따금씩 사용하는 거짓말은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거짓말을 하는 것이 일상화된다면 심각한 문제가 될 수 있는데요. '바늘 도둑이 소 도둑 된다'라는 속담처럼 반복된 거짓말 습관이 자리 잡으면 책임을 회피하는 사람으로 성장하는 등 큰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자녀에게 진실한 말하기를 가르치는 것은 개인적인 책임과 신뢰를 알려주는 제대로 된 양육의 길이라는 사실을 기억해 주세요. 취학 전 연령부터 아이들은 다양한 친사회적이고 은밀한 목적으로 거짓말을 사용하기 시작하며 나이가 들수록 점점 더 정교해집니다. 거짓말은 아이들이 문제에서 벗어나거나 책임을 회피하는 효과적인 방법이라는 것을 알게 되면 나쁜 습관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아이가 거짓말을 하면 .. 2023. 5. 10. 자녀에게 거짓말을 해도 괜찮을까? 가정의 달을 맞아 가족과 관련된 콘텐츠를 준비해 소개하고 있는데요. 어버이날을 맞이해 준비한 내용은 자녀와 부모에 대한 내용인데요. 그 주제는 바로바로 거짓말입니다. 자녀에게 거짓말을 해도 괜찮을까? 자녀에게 거짓말을 한다는 것이 이상하게 들릴 수 있지만, 아이가 과자를 너무 자주 찾아서, "아~ 사둔 과자가 다 떨어졌네"라는 말부터 "산타 할아버지는 우는 아이에게 선물 안 주신대"와 같은 말들은 자녀의 바른 행동 유도를 위한 하얀 거짓말의 일종입니다. 국제 심리학 저널(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logy)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조사에 참여한 미국 부모의 84%가 자녀의 행동을 유도하기 위해 거짓말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하는데요. 이를 "도구적 거짓말"이라고도 합니다.. 2023. 5. 8. 피곤하게 일어나는 이유 우리는 평균적으로 인생의 3분의 1을 잠을 자면서 시간을 보냅니다. 수면을 통해 피로가 풀리고 다음날 정상적인 생활을 할 수 있게 합니다. 7~8시간 동안 잠을 잤는데 전날 밤만큼은 아니더라도 피곤함을 느끼시나요? 잠을 잤는데도 개운하지 않거나 피곤함이 지속적으로 느껴진다면 문제가 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잠을 잤는데도 피곤하게 일어나는 이유에 대해 살펴볼까요? 1. 수면 관성(Sleep inertia) 잠을 자고 일어나도 피곤함이 가시지 않고 무력한 상태가 지속되는 경우를 수면 관성이라 말합니다. 연구에 따르면 수면 전과 비교하여 수면 후 최대 30분 동안 뇌의 혈류가 느려진다고 합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졸린 상태가 15분에서 1시간 동안 지속되지만 수면 관성이 있는 경우 몇 시간 동안 지속될.. 2023. 4. 25. 지구의 날, 탄소발자국이란? (feat. 왜 전기자동차가 필요한 걸까?) 지구 환경오염 문제의 심각성을 알리기 위해서 자연보호자들이 제정한 지구 환경보호의 날로 매년 4월 22일, 오늘이 바로 지구의 날입니다. 환경오염 문제의 심각성을 일깨우기 위해 제정한 날로, 유엔이 정한 세계 환경의 날(6월 5일) 과는 달리 순수 민간운동에서 출발했다. 이는 1970년 4월 22일 미국 위스콘신주의 게이로드 넬슨 상원 의원이 앞서 1969년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 발생한 해상 원유 유출 사고를 계기로 환경문제에 관한 범국민적 관심을 불러일으키기 위해 '지구의 날'을 주창한 것이 계기가 되었다. [네이버 지식백과] 지구의 날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 엔진 연구소)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31970&cid=4.. 2023. 4. 21. 면역 건강을 방해하는 습관 계절이 바뀌는 환절기에는 면역력이 떨어져 독감이나 감기 등의 질병에 취약해지는데요. 가족, 학교, 직장 등에서 누군가 감기나 독감에 걸리면 어느새 옮아 기침을 하고 있는 경우가 있지요. 주변에 감기 환자가 있어도 누군가는 걸리고 누군가는 아프지 않고 지나가기도 하는데요. 이는 면역력 차이로 우리의 생활습관이 면역력을 높일 수도 떨어뜨리고 있을 수도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면역 건강을 방해하는 습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비관주의자 낙관주의자가 비관주의자보다 면역력이 더 높다고 합니다.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 캠퍼스의 연구에 따르면 첫 학기를 긍정적으로 접근한 학생들은 면역력을 강화하는 T 세포의 수가 더 많고 중간고사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스트레스를 덜 받았다고 밝혔습니다. 부정적인 .. 2023. 4. 19. 당뇨병과 신장질환(당뇨병성신증) 당뇨병과 신장질환 (당뇨병성신증) 당뇨병성 신증은 당뇨인에게 있어서 심각한 문제점 중의 하나이며, 30세 이 후에 당뇨병으로 진단받은 환자들의 약 10-30%는 진단 받은 지 20년이 지나면 신장이 제 기능을 못하는 신부전이 발생하게 됩니다. -삼성서울병원 당뇨교육실 홈페이지 부분 발췌- 당뇨병성신증이란 당뇨병은 신장질환의 주 원인 중 하나 입니다. 신장은 혈액 속에 있는 노폐물을 여과하여 체액과 전해질의 균형 유지의 역할을 하며, 혈압과 같은 신체 시스템을 조절하는 호르몬을 방출합니다. 신장의 또 다른 중요한 기능은 체액 수준을 유지하는 것입니다. 나트륨과 같은 전해질과 항이뇨호르몬(ADH), 알도스테론 및 심방 나트륨 이뇨제 펩타이드(ANP)가 체액 양을 늘리거나 줄여 신체에 반응하여 혈압과 신체의 .. 2023. 4. 13. 당뇨병 환자의 마음 돌보기 ((당뇨병환자의 정서적 지지법)) 당뇨병은 평생 조절이 필요한 병으로 당뇨병 진단을 받으면 정서적으로 힘들 수 있습니다. 질병에 대한 두려움, 일상생활 유지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 생활습관 관리 등으로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당뇨병을 관리하고 치료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정서적 건강도 중요합니다. 당뇨병 환자가 스스로에게 보내는 다독거림, 마음을 돌보는 정서적 지지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볼까요? 당뇨병환자의 정서적 지지법 1. 자신에게 시간을 주세요. 제1형 당뇨병이든 제2형 당뇨병이든 이 만성 질환을 관리하기 위해 일상 생활에서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합니다. 질병에 대해 공부하고 자신의 몸에 대해 더 잘 이해하고 신체 건강을 가장 잘 돌보는 방법을 배우는 시간을 갖는 것은 중요합니다. 이러한 시간은 지속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2023. 4. 10. 남성 갱년기 증상 (과민성 남성 증후군) 과민성 남성 증후군 - 남성 갱년기의 증상 남자가 월경을 하다가 완경(폐경)을 하는 것도 아닌데 갱년기를 겪어? 라고 놀라실 수 있지만, 남성들도 갱년기와 유사 증상을 겪는다고 합니다. 여성 갱년기의 생체적 신호인 생식능력 종료를 알리는 완경처럼 남성의 생식 능력 상실이 남성 갱년기의 증상과 원인이 아니라, 남성 호르몬으로 알려진 테스토스테론의 급격한 감소가 이 증상의 원인이자 큰 특징이라고 하는데요. 남성 갱년기라니, 왜 이 단어가 이리도 이렇게 낯설까? 남성 갱년기 증상은 세계에서 꽤 오랫동안 관찰되었지만(일반적으로 약 50세 이후 부터) "과민성 남성 증후군" 또는 IMS라는 용어는 2001년 스코틀랜드의 Dr. Gerald Lincoln에 의해 처음 만들어졌다고 합니다. (22세기 들어 등장한.. 2023. 4. 5. 이전 1 ··· 16 17 18 19 20 21 22 ··· 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