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건강TalkTalk562

MRI검사가 처음이라면? 궁금할 점들 일전에 CT와 PET CT검사의 차이를 소개해 드린 적 있는데요. https://hyperthermia.tistory.com/1868 진단검사 의료장비 CT와 PET CT차이는 뭘까?병원에가서 진단 검사를 받을 일이 있거나 건강검진에서 검사 항목에 있어서 만나게 되는 CT는 음, 자세한 엑스레이인가? 싶었어요. 그렇지만 PET CT라는 것을 보고 무슨 차이가 있지? 싶었고.. 의hyperthermia.tistory.com건강체크나 진단검사에 쓰이는 또다른 장비인 MRI도 있죠. "MRI"는 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의 줄임말로 통증 없이 내부 장기와 구조를 자세히 살펴보기 위해 시행되는 검사입니다.전파, 자석(자기장), 컴퓨터 기술을 활용한 MRI는 다른 검사 결과를 .. 2025. 6. 12.
자가면역질환(4) 1형 당뇨병(인슐린 의존성 당뇨병)이란? 자가면역 장애나 자가면역 질병은 면역체계가 실수로 건강한 세포, 조직 또는 기관을 공격할 때 발생합니다. 흔히 알고 있는 염증 반응이 모든 자가면역질환의 근본적인 증상입니다. 대부분의 자가 면역 질환의 다른 일반적인 징후와 증상으로는 피로, 발열, 관절통 또는 근육통이 있습니다. 자가면역 질환에 대한 진단을 받는 것은 어려울 수 있습니다. 자가면역 질환은 독특하지만 증상은 다른 건강 질환(자가면역 ​​및 비 자가면역)과 유사해 보일 수 있습니다. 즉, 정확한 진단을 받으려면 종합 검사와 여러 가지 테스트를 포함한 다단계적 접근 방식이 필요한 것이 바로 자가 면역 질환이라고 합니다. (자가면역 질환이란, 25.03.18포스팅 내용에서 발췌) 자가면역질환(4) 1형 당뇨병(인슐린 의존성 당뇨병)무절제한 식습.. 2025. 6. 10.
생활 속에서 지구 환경을 지키는 팁 (6월 5일은 세계 환경의 날) 6월 5일 오늘은, 세계 환경의 날입니다. 세계 환경의 날은 1972년 6월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열린 '유엔인간환경회의'에서 국제사회가 지구환경보전을 위해 공동 노력을 다짐하며 제정한 날로, 매년 6월 5일이다. 스톡홀름에서 열린 유엔인간환경회의는 국제사회가 지구환경보전을 위해 공동 노력을 기울일 것을 다짐한 첫 번째 국제회의였는데, 이 회의를 통해 인간환경선언이 발표되었고 UN 산하에 환경전문기구인 유엔환경계획(UNEP)을 설치하기로 결의하였다. ​ 이 결의에 따라 설립된 UNEP는 1987년부터 매년 세계 환경의 날을 맞아 그 해의 주제를 선정·발표하며, 대륙별로 돌아가며 한 나라를 정해 행사를 개최하고 있다. 특히 환경보호를 위한 개인과 지역사회의 활동을 장려하기 위해 제정한 '글로벌 500상' 시.. 2025. 6. 5.
미루는 습관을 극복하는 팁 (이 글도 나중에 봐야지.. 하고 계신가요?ㅎㅎ) '퇴근하고 혹은 하교/하원하고 집에 돌아오자마자 바로 씻는 사람은 존경해야 한다.'는 진심반 농담반의 말이 있죠? 오늘 하루를 열심히 보내고 지쳐서 돌아온 몸을 미루지 않고 바로 씻기 때문에 존경한다는 표현을 하는 것입니다!! 비단, 이 일만이 아니라 해야할 일과 하고 싶은 일이 이것도 저것도 있지만, 당장의 우선순위만 따져서 급한 일 한두 가지만 처리하는 나의 모습.. 미루는 습관이 만성이 돼버린 것 같아요 ㅠㅠ_ㅠㅠ 미루는 것 좀 그만해!! 라는 신호(?)인지, 제 눈을 사로잡은 이 콘텐츠 미루는 습관을 줄이는 팁!입니다. 미루는 삶을 청산하는 길로 한걸음 나아가 보아요! 미루는 습관을 줄이는 팁!미루는 습관을 줄이는 팁 첫번째, 스트레스를 관리/해결하세요 해야할 일을 시작하는 데 어려움을.. 2025. 5. 30.
5월 21일은 부부의 날, 건강한 관계를 위한 팁 5월 21일인 오늘은 둘이 하나가 되는 '부부의 날'입니다. 매년 5월 21일로 둘=2, 하나=1의 숫자를 따와 둘이 하나가 되었다는 의미로 2007년에 법정기념일로 제정되었습니다. 부부의 날은 부부관계의 소중함을 일깨우고 화목한 가정을 일궈 가자는 의미로 제정되었다고 해요. 오늘만큼은 애정을 듬뿍 담아 서로에게 사랑한다는 말을 전할 수 있다면 건강한 관계를 유지해 나가는 데 더욱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오늘 소개할 콘텐츠는 웨일즈의 mental health foundation과 미국 로스엔젤레스의 help guide.com이 소개한 건강한 인간 관계를 위한 팁을 참고해 소개하려고 합니다. 오늘의 포스팅이 더욱 견고하고 건강한 부부의 관계를 만들어 나가는 데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네요! 부부의 날, .. 2025. 5. 21.
뇌의 성장과 노화 과정 (나와 우리 부모님의 뇌는 지금 성장중일까? 아니면 이제 노화의 단계에 접어든걸까? 어린시절은 모든 감각이 폭발적으로 확장해 나가는 시기라고 하죠. 폭발적인 확장시기를 넘어 본격 성장기인 청소년기부터 성인이 될 때까지 시간이 지나고 나면 뇌의 성장은 멈춰버리는걸까요? 뇌는 정체되어 있지 않습니다. 평생 동안 감정적, 지적, 신체적 이정표를 따라 수반되는유전적, 호르몬적, 환경적 요인으로 인해 많은 변화가 발생합니다.- 미국, 메이요클리닉 헬스시스템, 신경과의 Prashant Natteru - 뇌의 성장 시기 - 유아/유년기아기들은 무엇이든 입에 넣고, 걸음마를 배우는 아이들은 탐험하고 싶어서 마치 멈추지 못하는 병에 걸린 것처럼 잠들기 전까지 끊임없이 활보합니다. 뇌가 발달하면서 세상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정보들을 마구마구 수집하고 새로운 연결 고리를 형성합니다. 출생 후 .. 2025. 5. 8.
운동 중에 갑자기 어질어질함 왜 그럴까? 운동 중 현기증이 나는 이유 운동을 하는 것이 건강에 도움이 된다! 전반적인 건강상태 개선에 좋다! 고 알려져 있지만. 열심하는 운동 중에 메스꺼움이나 어지럼증을 느낀다면 걱정이 들 수 있는데요. 운동 중에 왜 어지럼증이 일어날까요? 제일 흔한 원인으로는는 심호흡을 꼽을 수 있습니다. 격렬한 운동 때문에 호흡 패턴이 무너졌기 때문에, 산소공급이 일시적으로 원활하지 않기 때문일 수 잇습니다. 또다른 원인으로는 탈수와 일시적인 저혈당을 꼽을 수 있습니다. 때문에, 현기증(어지럼증)이 느껴지면, 심호흡을 몇 번하며 호흡의 패턴을 맞춰보세요. 또 충분한 수분 보충을 해주세요. 운동 중에 짬이 된다면, 탄수화물이 풍부한 간식을 섭취하는 것이 현기증 해소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여름을 준비하기 위해, 좀 더 운동에 매진하실 계획이라면!!.. 2025. 5. 2.
균형 운동의 중요성과 홈트 균형 운동법 (필라테스나 균형 운동이 궁금하셨거나, 초보 필라테이스인이라면 한번 읽어보세요!) 신체 균형은 연령대를 불문하고 중요한 것이지만, 한해 한해 몸을 노화의 흐름에 맡길수록, 균형 감각이 특히 더 중요하다고 합니다. 그 이유로는 밸런스 = 균형 감각이 있어야, 걷기도 편안하고 넘어짐도 예방할 수 있기 때문인데요. 인구 고령화 사회, 나는 그리고 나의 몸은 균형 감각을 유지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있을까요? 운동을 구분하는 네 가지- 근력, 지구력, 유연성, 균형 근력 운동근력 운동은 글자 그대로 근육의 힘을 말합니다. 흔히 헬스장에가서 하는 운동을 떠올릴 수 있습니다. 기구나 덤벨, 케틀밸 등을 이용해서 내 몸의 근육이 힘을 낼 수 있도록 단련하는 운동입니다. 근육은 가만히 숨만 쉬어도 한해한해 소실되기 때문에 별도로 단련시켜주는 운동을 해줘야, 근육을 유지하고 키워갈 수 있다고 .. 2025. 4. 28.
운동할 때 수분 보충 뭘로 하세요? (그냥 물이 좋을까, 이온음료가 좋을까?) 운동할 때, 흘리는 땀만큼 충분한 수분보충이 중요하다는 사실 알고 계실겁니다. 운동을 하게되면 많은 양의 수분을 잃을 수 있기 때문인데요. 충분한 수분 섭취는, 관절과 신체 조직 기능에 도움이 되고 체온을 조절하며, 영양소를 운반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스포츠 경기 중계 화면을 보더라도 운동선수들이 벤치에 앉아있거나 교체 혹은 경기 중 짬이 나면 무엇인가를 마시는 화면을 볼 수 있는데요. 운동선수들은 어떤 걸로 수분을 보충하고 있는걸까요? 우리는 운동할 때 그냥 물만 마시면 좋은걸까요? 운동할 때 수분 보충 뭘로 하세요? (그냥 물이 좋을까, 이온음료가 좋을까?) 1. 운동 강도에 따라, 마시는 음료를 선택해 보세요.미국의 스포츠 영양학자 공인영양사인 낸시 클라크의 "스포츠 영양 가이드북"에 따르면, .. 2025. 4. 25.